usb 포맷 방법

 

포맷이란

 

 

포맷은 디스크장치(USB,하드디스크등)안에 내용을 모두 지워 초기화하는 과정으로 저장장치를 처음 구입하면 가장먼저 진행하는게 좋습니다.다만 최근에 나오는 USB장치들은 별도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경우가 있고 바로 사용할수 있게 출시되어 필수적으로 할필요는 없지만, 호환문제나 파일전송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파일시스템을 변경하여 포맷하기를 권장합니다.

 

 

 

포맷을 위한 파일시스템 비교

 

 

 

1) FAT32

FAT32방식은 MS-DOS시절부터 사용되전 파일시스템으로 오래 사용한만큼 표준파일시스템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호환성은 좋지만 치명적인 단점으로 4GB를 초과하는 단일파일을 저장할수 없으며, 파일개숟도 16,384개를 넘기지 못하는데 고용량 파일을 주로 사용하는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은 방식입니다.

 

2) NTFS

NFTS는 윈도우NT기반의 파일시스템으로 보안 및 암호화,디스크할당량 지정같은 기능으로 주목을 받았지만 최근에은 다양한 파일시스템 등장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윈도우와 호환성이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USB메모리를 안드로이드폰이나,MAC계열 OS에서 사용할때는 호환성이 좋지않으므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3) exFAT

exFAT방식은 이동식 디스크사용자를 위한 파일시스템으로 고용량의 메모리,외장하드를 최대 512tb까지 이동할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32비트 운영체제에서도 4gb이상의 단일파일을 전송할수 있게 해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점이라면 파일유실문제가 간혹 발생하여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오랜기간 표준방식으로 사용된 FAT32방식을 추천하지만 대용량 파일이나 호환성문제가 발생할때는 다른방식으로 포맷하기를 권장합니다.

 

 

 

USB(하드)디스크 포맷방법

 

 

 

USB포맷.jpg

 

▲ 윈도우 바탕화면이나 시작메뉴에서 윈도우 탐색기를 실행합니다.또는 내컴퓨터를 실행합니다.

 

 

 

 

 

USB포맷 2.jpg

 

▲ 윈도우 탐색기가 열리면 포맷할 USB디스크,외장하드등을 연결합니다.

 

그리고 좌측에 메뉴에서 내 PC 또는 내컴퓨터를 찾아 선택한후 우측에서 연결한 장치를 찾습니다.

(하드디스크의 경우 윈도우가 설치되어있으면 불가능 하며 부팅디스크로 포맷을 진행해야합니다.)

 

 

 

 

 

 

USB포맷 3.jpg

 

▲ 포맷할 장치를 찾으면 해당장치 아이콘 위에서 마우스 우측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위와같이 메뉴가 나오는데 중앙에 위치한 포맷을 선택합니다.

 

 

 

 

 

USB포맷 4.jpg

 

▲ 포맷창이 열리면 파일시스템을 선택한후에 포맷옵션에서 빠른포맷을 선택합니다.

볼륨레이블은 디스크의 이름을 적는 부분으로 빈칸으로 두거나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준비가 완료되면 시작을 눌러 포맷이 진행됩니다(포맷이 진행되면 모든 파일이 삭제됩니다.)